상단영역

본문영역

우리 안에 내재된 ‘악의 평범성’을 경계하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60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외곽에서 한 남자가 체포되었다. 평범한 가장이요, 성실한 회사원이었던 그의 이름은 아돌프 아이히만. 독일에서 태어나 아르헨티나에서 평범하게 살아가던 그가 경찰에 체포된 것도 모자라, 심지어 이스라엘로 압송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사실 그는 인류 역사상 최악의 사건으로 기록될만한 나치의 유대인 대량학살에 깊이 관여한 전범이었다. 열차에 가스실을 설계하기도 하고, 그 열차를 이용해 유대인들을 아우슈비츠로 이송한 것이 바로 아이히만이었던 것이다.

1961년 아돌프 아이히만에 대한 재판이 시작되자 세계 언론의 이목은 일제히 예루살렘으로 집중되었다. 이 때,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라는 이름의 여성이 미국 <뉴요커>의 특파원 자격으로 이 재판의 전 과정을 참관하게 된다. 그녀가 남긴 기록은 이후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라는 이름의 책으로 출판되어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한나 아렌트가 일약 세계적인 학자로 발돋움하게 된 것은 이 책에 소개된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이라는 개념 때문이었다. 악의 평범성은 책의 부제인 ‘악의 평범성에 관한 보고서’에 한 번, 그리고 아이히만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는 이 책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 한 번, 이렇게 단 두 번 밖에 등장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렌트의 사상을 가장 명징하게 담아내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한나 아렌트가 말하는 악의 평범성이란 어떤 의미일까? 일차적으로 그것은 유대인 학살이라는 엄청난 죄악을 저지른 사람치고 너무도 평범하고 선한 인상을 하고 있었던 아이히만의 외관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자신의 무죄를 변론하면서 했던 주장, 즉 ‘나는 나에게 주어진 책임을 다했을 뿐이다. 나는 시키는 것을 성실하게 이행한 관리였다. 오히려 국가로부터 녹을 받으면서 지시를 따르지 않는 것이 죄 아니겠는가?’라는 말에 주목한다.

아렌트는 아이히만의 말대로 그가 매우 성실한 사람이며, 그의 성실함 자체가 죄가 될 수는 없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그가 유죄인 이유는 “말과 사고를 허용하지 않는 악의 평범성” 때문이라는 것이 아렌트의 주장이다. 악의 평범성이 말과 사고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말을 거꾸로 돌려보면, 말하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 평범한 얼굴을 하고 숨어 있는 악의 모습이라는 의미이다. 어떤 일의 윤리적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않은 채, 그저 열심히 그 책임을 다하는 것은 결국 악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처지를 생각할 줄 모르는 생각의 무능은 말하기의 무능을 낳고 행동의 무능을 낳는다”는 아렌트의 말은 악의 평범성의 의미를 가장 잘 담아낸 문장이라고 할 수 있다.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 누구라도 악의 평범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악은 극악무도한 모습을 하고 불현듯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지극히 평범한 모습으로 우리 안에 항상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내가 하고 있는 공부, 일, 일상의 삶에서 마주하는 여러 일들을 수행해 나갈 때, 앞만 보고 달려갈 것이 아니라 잠시 멈추어 서서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아렌트는 성실함이 모든 것을 정당화하지 않는다고 우리에게 말한다. 그에 더하여 옳고 그름에 대한 생각, 말, 그리고 행동이 따라야 함을, 그래서 우리 안에 내재된 악의 평범성을 항상 경계할 것을 요청한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홍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신기사

하단영역

모바일버전